발급받은 인증코드를 입력해주세요.
개인이 검사를 구입해 진행하시려면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온라인 검사 구입 및 검사Dasein(현존재) 홍석태 글쓴이 : KEEC 2012-08-27 11:16 | ||||||
어두움 한 자락 덮고 사는 그는 그 어둠 때문에 심하게 괴로워하던 어느 날 그 어둠을 통하여 빛의 사람으로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합니다. 삶에 지쳐 시련의 아픔으로 세월을 보내던 어느 날 그 아픔을 통하여 오늘을 행복하게 살아가는 길을 배웠습니다. 미움 하나를 품고 살아온 그는 미워하는 고뇌로 잠 못 이루던 어느 날 스스로를 용서하면서 서로를 사랑하는 자애로운 사람이 되었습니다. 오랜 슬픔과 아픔과 고뇌(苦惱)의 무거운 짐을 내려 논 그의 빈 가슴에 영성의 풍성한 열매가 영그는 오늘을 살아가는 희망의 사람이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이제는 그냥 살아가는 맹목적인 생명의 존재가 아니라, 인간답게 살아가는 정유(定有)의 존재로 다시 태어날 수 있었습니다. --------------------------- 상기의 글은 ‘에니어그램’을 공부하고, 에니어그램을 통하여 변화된 모습을 그려보았습니다. ‘Dasein’은 : 하이데카의 철학에서 인용된 말로서 ‘현존재’라는 뜻을 지녔다. 정유(定有)의 존재는 : 오늘의 삶 자체를 자각(自覺) 하고 오늘의 존재의 의미(意味)와 이유(理由)를 아는 사람들이 있다. 하이데카는 이들에게 정유의 삶 또는 정유(定有)의 존재라고 말을 했다. 인간의 삶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오늘’을 말한다. 어제도 아니고 내일도 아닌 오늘을 사는 존재에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한 인간의 오늘의 삶은 영성(divine nature)으로의 접근이 아닌 매일을 그냥 맹목적으로 살아가는 존재로서의 오늘을 말한다. 칸트도 인간은 교육을 받아야하고 교육을 받지 않으면 인간이 아니라 하였고, 순자(荀子)도 인간을 악(惡)의 종자(種字-bad seed)로 보았지만 욕심을 버리고 수신(修身)하는 학습을 하면 덕(德)을 쌓고 인(仁)에 이른다 했습니다. 東洋人에게는 신(神)은 있었지만 하늘(天)과 땅(地)과 자연(自然) 그대로가 신(神)이었기 때문에 영성(靈性)을 쉬이 수용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동양인에게는 God은 없습니다. 동양인의 견해로의 God은 서구인의 개념화에 의한 작품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이처럼 동양인은 인간을 행동과학에 원리를 두었지만 西洋人은 종교나 초자아에, 즉 영성에 접근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견(見-see)은 그냥 보는 것을 말하고, 관찰하면서 보는 것은 간(看-look)이라 한다. 정유(正有)는 간(看-look)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
에니어그램과 수비학(2) 진재열 글쓴이 : KEEC 2012-08-27 11:15 | ||||||
진재열의 에니어리더십 칼럼 에니어그램과 수비학(2) 진재열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전임교수 한국에니어리더십연구소(RIKEL) 소장 에니어그램, 동기부여, 자기경영,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http://www.kenneagram.com/club/rikel 지난 호에서는 에니어그램과 수비학 개요와 에니어그램 도형안에 담긴 핵심 숫자인 1과 3과 7에 대하여 알아 보았고 이번에는 숫자 “1”부터 숫자 “10”의 의미하는 내용을 간략히 알아보고자 한다. 플라톤은 BC 387년에 ‘아카데미아’를 설립하고 입구에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들어오지 말라”는 경고문을 써놓았다고 전해온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숫자에 담긴 상징적 의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자. 1 : 전체성, 통일성, 완전성의 상징으로서의 ‘하나(Monad)', 태양, 자연, 탄생 등를 의미한다. 에니어그램 1유형의 모습 중 하나인 '완벽을 추구하는 모습'과도 상통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숫자 “1”은 원으로 표현되며 어원적으로도 ’안전하다‘는 뜻의 ’menein'과 ‘단일성(oneness)'이라는 뜻의 ’monas'이다. 1은 하나의 ‘수’라기 보다는 모든 수의 공통분모요, 모든 수의 기본이며, 모든 수 안에 들어있고, 모든 수를 수 되게 하는 독특한 수이다. 그리하여 1은 언제나 존재의 근원, 통일성, 전체성, 온전성, 충만성의 상징이었으며, 원이나 점으로 표현되었고 우주적 신성성을 지니게 되었다. 1이라는 숫자 개념 곧 ‘monad'는 상징수학적으로 3가지 원리를 나타내는데, 첫 번째로 창조적 확산의 원리이다. 원은 종교예술과 건축물의 축조물의 축조과정에서 언제나 빛, 공간, 시간, 힘이 모든 방향으로 펼쳐나가는 원리를 상징한다. 둘째원리는 원이 원주가 지니는 주기적 운동성, 규칙성, 리드미컬한 진동성의 상징이다. 이 둘째원리는 우주와 생명이 정지된 고요가 아닌 움직이고 창발하는 역동성으로 체험하게 된다. 불교나 힌두문화의 수레바퀴 상징은 그것을 단적으로 나타낸다. 세 번째 원리는 최대효율성의 원리인데, 원은 같은 길의 곡선으로 확보할 수 있는 최대 공간면적을 만들어 낸다. 아랍 알파벳에서 1은 신에게 해당하는 수이다. 이집트에서 1은 위대한 태양신으로 여겨졌다. 1은 보통 남성적인 수로 간주된다. 바빌로니아 인들은 1을 불행의 수로 여겼다. 1은 창조와 시작의 수이다. 또한 유일한 수로서 권위와 리더십을 상징한다. 2 : 긴장 갈등의 근원이면서 온갖 창조의 문(門)인 ‘디아드(Dyad)', 분리, 차이, 거리, 구별의 실제, 이원성, 균형, 차오르는 달, 타인에 대한 지각, 두 손과 두 눈의 힘을 상징한다. 한때 2라는 숫자는 이원성과 일이라는 통일체에 대한 거부로 여겨졌기 때문에 악의 기원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부정적인 의미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사제들을 축복을 내리는데 두 손가락을 사용하며, 일부 이집트 애뮬렛은 상,하로 나뉜 두 개의 이집트를 나타내기 위해 손가락 두 폭의 모양을 하는 경우도 있다. 2는 또 문화, 진리, 아름다움의 수이기도 하며, 우정과 사랑의 수이기도 하다. 디아드의 원리는 마이클 슈나이더는 ‘양극성(polarity)'으로 설명한다. 양극 사이의 긴장은 서로 반대되는 관계, 대조, 차의 형태로 모든 자연사와 인간사에서 일어난다. 디아드가 통일성으로 분리해 나가려는 것처럼 보이는 반면, 서로 반대되는 극들이 자신의 근본을 기억하고, 서로 결합해 원래의 통일 상태로 돌아가려고 서로를 끌어당긴다는 사실은 디아드의 역설이다. 최근 숫자 “1”과 “2”를 활용한 의미있는 유모어를 소개하고자 한다. - “사람(人)” : “1(사람)”과 “1(사람)”은 서로 균형되게 기대어야 조화롭다는 의미로서 어느 한쪽이 너무 많이 기대면 한쪽이 힘들어진다는 의미이다. - “1+1=2” : 사람은 본디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닌 “다름”이 있으므로, “1(사람)”은 “1(사람)”과 “+(만나야)”만 “2(이해)”가 된다는 의미이다. - “5-3=2” : 사람들은 살면서 “다름”때문에 “5(오해)”라는 갈등을 겪게된다. 따라서 “5(오해)”가 생기면 “3(3번 생각하거나, 참거나, 인내하면)”“2(이해)”가 된다. - “2+2=4” : 이와 같이 “2(이해)”하고 “2(이해)”하면 “4(사랑)”하게 되고, - “4+4=8” : “4(사랑)”하고 “4(사랑)”하면 “8(팔자)”도 고치게 되며, - “5+5=10” : “5(오해)”를 두번만 하게 되어도 “10(완성, 완벽, 이룸)”된다. 여기서 숫자 “10”은 완성을 의미한다. 정상적인 손가락과 발가락이 10개 인것 처럼... <계속> |
||||||
폭탄주의 5대원칙과 통합의길 (송준석) 글쓴이 : KEEC 2012-08-27 11:14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