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C 소식지

에니어그램 컬럼

HOME - KEEC 소식지 - 에니어그램 컬럼
한국형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현황 분석 (윤운성) 글쓴이 : KEEC   2012-08-27 10:51

아래의 글은 2005년 한국에니어그램학회 연차학술대회 회장 기조논문 중 서론과 결론 부분을 발췌한 글입니다. 에니어그램연구, 2권2호. 9-49.




한국형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현황 분석


윤 운 성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장, 한국에니어그램학회장


I. 서 론

최근 들어 국내의 여러 분야에서 에니어그램의 지혜가 활용되고 있다. 에니어그램이 가지고 있는 학문 포괄성으로 인해 연구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다양한 계층의 관심은 물론 대중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윤운성, 2004e). 이미 에니어그램의 지혜는 자신의 건강은 물론 타인과의 팀웍크를 통한 조직혁신에 기여하고 있다(윤운성,최세민, 2005).
이러한 에니어그램의 확산은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Korean Enneagram Education Center: KEEC)’와 ‘한국에니어그램학회’를 통하여 가속화 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형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KEPTI(윤운성, 2001a)와 리소연구소와 저작 계약한 한국판 ’에니어그램 성격검사K-RHEPTI(윤운성2002a)‘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 100여 개 상담관련 기관 및 기업체에서 한국형 에니어그램 검사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관련 학위논문에서 활용되고 있다(김의일, 2004; 박정선, 2002; 송예순, 2002; 윤운성, 2002a; 2004b; 2004e; 윤운성,이규복, 2004b; 윤형준, 2004; 이은종, 2003; 전미경2004; 지영호, 2004). 또한 필자가 개발한 ‘한국형 에니어그램 5단계 프로그램’은 현재 공식적으로 12,000 여명에게 보급되었고, 1,000여명의 지도자(일반강사 및 전문강사)들에 의해 국내에 전파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형 에니어그램이 확산에 따라 한국형 에니어그램 유형에 대한 실제적이고 분석적인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H교육연구소의 워크셥에 참석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의 전반적인 현황을 분석 기술하여, 에니어그램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많은 학자 및 지도자들에게 에니어그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Ⅲ. 연구방법

1. 검사도구
윤운성(2001c; 2001d)이 개발하고 표준화한 9가지의 성격유형으로 81문항으로 된 한국형에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지를 사용하였다. 5점 척도로 이루어진 이 검사의 Cronbach α=.90, 재검사신뢰도 =.89 , Riso(1996)와 공인타당도는 .82로 유형별 문항의 양호도가 높은 검사도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에니어그램 관련 국내 교육연구소에서 2002년 6월11부터 2004년 11월 말까지 교육을 이수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074명 중 성별로는 여자가 68.7%로, 남자 31.3%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30~40세 미만이 32.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0세 미만 26.4%, 45세 이상 23.6%, 40~45세 미만 17.6%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대졸이 41.1%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대학원졸 18.5%, 대학원재학 15.7%, 고졸 11.6%, 대재 6.7%, 박사 이상 3.1% 순이었다. 최초 직업군은 22개군으로 분류했으나 통계상의 피험자수를 고려하여 다시 6개군으로 재분류하였다. 직업별로는 교직(초,중,고교사 및 교수) 21.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공무원 및 사무직(사회복지사, 일반공무원, 군인, 의료인(간호사포함), 일반회사원, 기업체인사담당직원, 강사, 직업능력개발연구원) 19.8%, 상담직(일반상담원 및 자원봉사상담원) 19.7%, 미용관련직 12.5%, 학생(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대학원생) 11.4%, 사회운동 및 노조(NGO, 노조 및 환경운동) 8.7% 순으로 나타났다.


3. 자료분석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산출
둘째, 에니어그램 점수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획득한 에니어그램 점수를 살펴보기 위해 t-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
셋째,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힘의 중심, 분열과 통합, 날개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χ2(Chi-square) 검증
넷째, 에니어그램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



V. 논의 및 결론

2년 6개월 동안 검사를 실시한 2,074명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고자한다.
첫째, 에니어그램 유형별 점수의 평균을 고려할 때, 개혁가(M=33.48, SD=.5.21)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조정자, 조력가, 충성가 순으로 나타나고 성취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한 한국적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의 분석을 통해 한국사람들은 성공을 위한 성취지향보다는 가장 최선을 다해 완벽을 추구하려는 개혁지향적이고, 타인과의 조화를 유지하려는 조정지향적이고 남을 배려하는 조력지향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에니어그램 유형별 점수의 성별집단간의 차이를 t검증한 결과는 남자가 여자보다 성취가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2.23, p<.05). Becker(2000)의 연구결과도 일치하고 있어 동서양을 막론하고 남자가 여자보다 성취적 압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특성에 따른 에니어그램의 점수를 χ2분석할 때, 성별에 따른 에니어그램 점수는 전체적으로 남녀차이가 무의미하지만 남자는 개혁가, 조력가, 조정자순으로, 여자는 개혁가, 조정자, 조력가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많을수록, 개혁가가, 연령이 적을수록 조력가가 많았다(χ2=206.40, p<.05). 대학원졸 이상이 개혁가가 많고, 고졸이하일수록 조력가가 많았다(χ2=96.29, p<.05). 또한 교직이 다른 직업보다 개혁가가 많았고, 학생이 조력가가 많고, 사회운동 및 노조직과 학생이 예술가가 많게 나타났다(χ2=121.99, p<.001).
셋째, 힘의 중심별 분포에서 장형(65.5%), 머리형(20%), 가슴형(10.3%)으로 나타나 장형우위의 문화임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라서는 무의미하나 연령에 따라서는 연령이 많을수록 장형이 많고, 연령이 적을수록 가슴형이 많았고, 30세 미만에서는 머리형이 많게 나타났다(χ2=128.42, p<.001).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장형이 많고, 고졸이하에서는 머리형이 많게 나타났다(χ2 =33.12, p<.01). 직업에 따라서는 상담직이 장형이 많고, 공무원 및 사무직과 사회운동 및 노조직이 가슴형이 많고, 학생은 머리형이 많게 나타났다(χ2 =48.53, p<.05).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장형이 주도하는 문화적 영향에 기인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기주장이 강해지고 자기영역에 대한 책임감과 관련되고, 공무원 및 사무직과 사회운동 및 노조직이 가슴이 많은 것은 인간관계적 측면으로 해석되며, 학생일수록 학교공부와 같은 직무와 관계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에니어그램의 분열과 통합 및 날개는 성별, 연령별, 학력별, 직업별 모두 무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의 성격유형의 건강성과 관련되는 요인들로 건강성과 이런 요인들 간의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개인의 전인적 건강성은 성별, 연령, 학력, 직업과는 관련이 없음을 다시 확인하는 의의있는 결과로 판단된다.
다섯째, 유형별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정자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결과로 타나났다. 조정자가 여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무사태평의 조정자 성향과 관련된 듯하다. 그러나 개혁가는 연령이 많을수록 가장 영향을 미쳤으며, 미용관련직, 학생, 남자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24.983, p<.001). 조력가는 직업이 미용관련직일수록(F=3.811, p.<001), 성취가는 공무원 및 사무직, 학력이 높을수록(F=5.322, p.<001), 예술가는 연령이 적을수록(F=1.830, p.<05), 사색가는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F=11.651, p.<001), 충성가는 미용관련직일수록(F=3.661, p.<001), 낙천가는 연령이 적을수록, 미용관련직일수록, 공무원 및 사무직일수록(F=9.604, p.<001), 지도자는 미용관련직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공무원 및 사무직일수록(F=5.498, p.<001)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본 논문은 2년 6개월 동안에 걸쳐 실시된 검사결과와 피검사자가 2,076명의 전국적으로 다양하고 방대한 집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에니어그램의 현황을 이해
피검사자들의 자발적이고 동기화된 자세와 훈련된 전문강사에 의한 검사실시의 표준화과정은 연구결과의 신뢰도 향상
그러나 횡단적 연구가 가지고 있는 발달적 경향을 알 수 없다는 한계와 국내 선행연구가 미흡하여 포괄적으로 연구결과를 비교분석할 수 없어 아쉽다는 점은 한계
피험자의 78.4%가 대졸이상의 학력을 소지하거나 대부분 상담관련 직종에 종사하거나 기타 전문적 직업이 있는 피험자들이기 때문에 학력이 낮거나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에게까지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참고 문헌

강혜구 역(2005). 블루오션 전략: 성공을 위한 미래전략. 서울:교보문고.
김경섭 역(2005). 성공하는 사람의 8번째 습관. 서울: 김영사. Stephen R. Covey(2005). The 8th Habit: From effectiveness to greatness.
김의일(2004). 에니어그램을 적용한 사회성 발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박정선(2003). 감각장애인 자아정체감 제고를 위한 에니어그램 적용 가능성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정락 역(2001). 성격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송예순(2002). 에니어그램 워크숍이 어머니의 내적 통제성과 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운성(1995). 학습과 동기전략. 서울: 문음사.
_____ 역(1997). 현명한 부모: 발달하는 아이. 서울:동문사.
_____ 역(1998). 성격을 알면 성공이 보인다: 9가지 성격의 발견. 서울: 학지사.
_____(2000a). 기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성격유형검사의 개발과 적용. 24-2000-2. 경제연구양서 24권. 천안상공회의소 지역경제연구소.
_____(2000b). 에니어그램 성격검사의 고찰과 기업에의 활용. Andragory Today. Vol. 3, No. 3, 한국성인교육학회. 203-224.
_____(2000c). 성인학습과 발달: 교육심리학적 시각. 교육심리연구. 제14권 4호. 한국교육심리학회. 31-50.
_____(2001a). 에니어그램 훈련 프로그램. 전국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장협의회 하계학술대회발표. 57-91.
_____(2001b). 교육의 심리적 이해. 서울: 양서원
_____(2001c). 한국형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 아산: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_____(2001d).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제 15권 3호. 131-161.
_____(2001e). 에니어그램 적용: 너와 내가 함께 가는 여행. 아산: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_____(2002a). 에니어그램 훈련프로그램이 자아정체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 16권 2호. 93-111.
_____(2002b). 에니어그램 정복: 자기발견을 통한 자기완성의 길잡이. 서울: 학지사
_____(2002c). 필수 에니어그램: 정확한 성격유형 검사로 자기발견 및 자기성숙에 이르는 가이드. 서울: 학지사
_____(2002d). 한국형 리소-허드슨 에니어그램 성격검사. 서울:한국가이던스.
_____(2003a). 에니어그램 2: 내안에 접혀진 날개 후편. 서울: 열린
_____(2003b). 에니어그램 평가: 통합으로 가는 여행. 아산: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_____(2003c). 에니어그램과 인간관계. 서울:한국가이던스.
_____(2004a). 한국형 에니어그램 해석과 활용. 아산: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_____(2004b). 에니어그램 평가: 통합으로 가는 여행. 한국형에니어그램 4단계 교재. 아산: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_____(2004c). 심층에니어그램 발달수준: 여기 그리고 지금. 한국형에니어그램 심화단계 교재. 아산: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_____(2004d). 에니어그램 슈퍼비젼: 가르치며 배우는 여행. 한국형에니어그램 5단계 교재. 아산: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_____(2004e). 에니어그램의 분석적 고찰과 과제. 에니어그램연구. 1권 2호. 9-32.
_____(2004f). 에니어그램과 진로.. 에니어그램연구. 1권 1호. 9-24.
윤운성, 김봉환, 송의열, 이주하, 정정옥, 황임란 역(2001). 에니어그램: 성공인의 성격관리. 서울: 학지사.
윤운성․김봉환․임형택․황임란․이주하․정정옥․이명숙(2003a). 에니어그램 이해와 적용. 서울:학지사
윤운성․김홍은(2001). 생활지도와 상담. 서울: 양서원.
윤운성﹑․이규복(2004). 한국형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이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18권 1호. 23-43
윤운성, 정정옥, 송의열, 이명숙, 임형택, 안이환, 최은수, 구광현 역(2003b). 에니어그램 지능: 효과적인 수업과 학습을 위한 성격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윤운성․최세민 역(2005). 최강팀 만들기: 팀워크 에니어그램. 서울: 흐름출판.
윤형준(2004). 경력 닻 유형과 에니어그램의 성격유형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근후 외(1995).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4판. 서울: 하나의학사
이민태(1998). 한국인의 인성. 서울: 교육과학사.
이은종(2004). 한국형에니어그램의 집단프로그램을 통한 일반학교와 대안학교간의 비교분석연구. 에니어그램연구.1권 2호. 한국에니어그램학회85-108.
전미경(2004). 에니어그램 집단훈련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연구. 1권 2호. 한국에니어그램학회. 67-84.
지영호(2004).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인간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 .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리더쉽전공 석사학위 논문.

Becker, M(2000). Empirical studies of the Enneagram: Foundations and Comparisons. In Ebert, A., & Kustemacher, M.(2000). Experiencing the Enneagram. New York: NY: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Bergin, E., & Fitzgerald, E. (1998). The Enneagram: Paths to wholeness. Mystic, CT: Twenty Third Publications
Callahan, W. J. (1992). The Enneagram for youth. Chicago, IL: Loyala Press.
Daniels, D., & Price, V. (2000). the essential enneagram. New York, NY: HarperCollins.
Ebert, A., & Kustemacher, M.(2000). Experiencing the Enneagram. New York: NY: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Gurdjueff. G. I. (1974). Meeting with remarkable men. Triangle Editions: New York.
Goldberg, M. J.(1996). Getting your boss's number. HarperCollins.
Hall, C.S., & Lindzey, G.(1978). Theories of personality. New York: Wiley
Ichazo, O. (1982). Between Metaphysics and Protanalysis. New York: Arica Institute Press.
Keyes, M. F. (1992). Emotions and The Enneagram: Working through your shadow life script. Navato, CA: Molysdatur Publicaions.
Levine, J. (1999). The Enneargram Intelligences: Understanding personality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West port, CT: Bergin & Garvey.
Naranjo, C.(1995). Enneatypes in Psychotherapy. Prescott, AZ: Hohm Press.
.(1997). Transformation through insight: Enneatypes in life, literature and clinical practice. Prescott, AZ: Hohm Press.
. (2004). The Enneagram of Society: Healing the soul to heal the world. Nevada, CA: Gateeways Books and Tapes.
Mischel, W. (1999). Introduction to Personality. Holt, Rinehart, & Winston.
Ouspenskey, P. D(1949). In Search of the Miraculous,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Palmer, H. & Brown, P. B. (1998). The Enneagram advantage: Putting the 9 personality types to work in the office. New York: Harnony books, Inc.
.(1995). The Enneargram in love and work: Understanding your intimate and business relations. New York, NJ: Harper Collins
Riso, D. R.(1990). Understanding the Enneagram: The Practical guide to personality types. New York: Houghton Mifflin Company.
.(1992;1995). Discovering your personality type: The New enneagram
questionnaire. New York: Houghton Mifflin Company.
.(1993). Enneagram transformations. New York: Houghton Mifflin Company.
.(1996). Personality types. New York: Houghton Mifflin Company.
Riso, D. R., & Hudson, R. (1999). The wisdom of the Enneagram. New York: Bantam Books.
Rohr, Richard., & Ebert, Andreas(2002). The Enneagram: A Christian perspective. New York, NJ: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Shaffer, D.R. (1993).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California: Brooks and Cole.


사랑하는 딸 여진이 받고 (윤운성) 글쓴이 : KEEC   2012-08-27 10:51

사랑하는 딸 여진이 받고

네가 벌써 22살의 어엿한 숙녀가 되었구나. 네가 원하는 미국유학의 꿈과 희망이 풍성한 결실이 되어 돌아오길 바란다. 넓은 세상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은 삶을 사랑하는 시작이기도 하단다. 늘 목표를 향해 도전하고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아름답고 대견스럽구나. 이미 성인이 된 너에게 편지를 쓰자니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구나.

우선 유학의 동기와 목적이 뚜렷해야 할 것 같구나. 네가 그 동안 배운 내용으로 결론을 내리지 마라. 배움은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가속력이 붙고 배움 자체로 접근할 때 기쁨이 증가한단다. 결론을 내는 순간 배움은 멈추고 삶은 투쟁이 된단다. 배우기 위해서는 현재 알고 있는 것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미국유학도 배움의 본질이 바뀌는 것이 아니고 단지 낯 설은 장소로 가는 것 뿐 이란다. 인생은 그 자체가 배움터이기도 하지. 올바로 배우기 위해서는 어린아이로 돌아가는 자세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어린 아이는 어른보다 더 잘 배운단다. 그것은 배움 자체에 대한 즐거움과 기쁨을 알기 때문이고 그 만큼 순수하기 때문이다. 어린 아이처럼 춤추면서 놀면서 그 자체에 빠져 그 행복을 만들어라. 아이는 두려움 없이 있는 그대로 살아간단다. 어른이 되면서 어린시절이 끝이 나고 더욱 오염되어 진실을 왜곡하고 껍데기기에 집착하면서 살아가기 때문이다.

오늘날 성공처세 전략에 관한 정보들이 홍수를 이루고 있는 세태에서 중요한 삶의 의미와 철학이 상실되고, 따라서 서로의 투쟁과 갈등이 야기되고, 그렇게 인간들이 조건화되고 있단다. 조건화된 ‘머리보다는 가슴으로, 가슴보다는 행동으로’ 삶과 마주해야 한단다. 잘못된 배움으로 생존을 위한 불안에 시달리고 자신의 영역을 지키기 위해 분노하고 결국 손상된 가슴으로 살아가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우리 교육은 좋은 직업을 갖거나 성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단다. 오늘 아침 동아일보의 ‘학력 덫에 빠진 한국-너무 배워서 슬픔에 빠진 사람들’의 기사를 보면서 아픈 사람들의 현실이 두렵기도 하구나. 이러한 현실에서 아빠가 하는 에니어그램을 통한 ‘건강한 사회건설‘에 더 더욱 책무감을 느낀단다.

삶은 생존만을 위한 투쟁이 아니고 그 자체가 축복이 되어야 한단다. 삶은 그 자체가 기쁨이기도 하고 즐거움이기도 하다. 삶은 그 자체가 교육이고, 진정한 교육은 삶에서 이루어지고 따라서 삶을 가치롭게 이끄는 것이다. 나무와 산과 하늘과 태양을 보고 불우한 이웃을 보면서 하나님의 뜻을 헤아리고 자신의 분노를 다스리고 자신의 감정을 순수하게 느끼는 것을 배워야 한단다. 진정한 배움은 결국 자신과 세상이 하나임을 깨닫는 과정이기도 하단다. 아빠가 쓴 ‘최강팀 만들기’에서의 성공은 쫓아가는 것이 아니고, 자신이 성공을 만들어가는 것 그 자체에 기쁨을 발견하는 것이란다.

미국유학을 통해서 학력이 높아지고 성공의 비법을 모방하기보다는 배움속에서 더욱 자기 자신이 되는 방법을 깨닫기를 바란다. 자신이 되어가는 과정은 곧 자연과 신과 가까워지는 과정이기도 한단다. 그 과정은 시기과 질투가 없으며 그 자체에 아름다운 신성이 존재한단다. 미국유학을 통하여 자신속에 넣어둔 보석을 발견하고 그것으로부터 아름다운 빛이 발하도록 노력하기를 바란다. 아빠는 네가 직업적으로 무엇이 되기보다는 네가 가지고 있는 자산을 잘 발휘하여 훗날 삶을 즐겁게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깨닫기를 바랄 뿐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자리에서 살면서 자신은 물론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단다. 잘못된 교육으로 화가가 된 사람은 예술가로서의 행복을 느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진정한 예술적 삶을 살 수가 없다. 의사로서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환자의 병을 치료할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진정으로 성공하는 사람은 자신이 바라는 생산과 그것을 위해 자신의 생산능력을 증대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참고 인내하면서 자신의 생산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단다. 당장의 생산목표에 집착하여 미래의 생산능력이 떨어져 행복의 그릇이 금이 가지 않기를 바란다. 훌륭한 정원사는 씨앗을 심고, 정성스럽게 물을 주면서 건강한 나무가 되도록 인내심을 가져야 한단다. 너무 성급하게 성장에만 눈이 멀어 수명이 단축되지 않도록 전체적 시각을 깨달아야 한다. 늘 바라는 생산과 자신의 생산능력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여유 있게 지금의 기쁨을 찾도록 해라.

사람은 대략 7년 주기로 마음이 변한다고 한단다. 네가 14살의 사춘기 때도 건강하게 슬기롭게 대처해왔듯이 이제 만 21살의 위기가 성장의 기회가 되길 바란다. 변화의 시기에 일어나는 일들은 아름답고 많은 가능성이 존재한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네가 늘 말하듯이 ‘먼 훗날 윤여진 알아 ?" 라고 물을 때 "아..걔..^^" 라고 하며 활짝 웃을 수 있게 만드는 그런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가 실현되길 바란다. 미국유학은 자신과의 끊임없는 싸움이다. 건강한 유학생활이 되기 위해서는 ‘지금 이 순간 여기’에서 깨닫고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그리고 아침에 일어나서 잠깐 동안 명상하면서 그냥 킥킥대면서 웃으면서 온몸을 흔들고 바닥을 구르기도 하고 긴장을 풀고 웃음속에 빠져드는 것도 미래의 너의 모습으로 다가가는 것이다. 아침의 웃음은 하루의 시작을 즐겁게 하고 저녁의 웃음은 편안한 잠을 이루게 할 것이다. 하루의 시작과 마지막을 웃음이 되게 하라. 너는 에니어그램의 중심에너지가 장형으로 특히 온몸의 긴장으로부터 이완하는 것이 너의 생산능력을 증대시키는 기초가 될 것이다.

아빠는 네가 어디에 있든지 무엇을 하든지 내 딸이 된 것을 가장 큰 기쁨으로 여긴단다. 더욱이 그 동안 네가 가진 단점보다는 장점을 바라보는 긍정적인 사고방식은 미래에 성공적인 결실로 이루어질 것임을 확신한다. 늘 자신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지각하는 사람은 고통이나 좌절의 강도가 낮아지고 늘 새로운 시각으로 그것을 극복할 수 있단다. 아빠는 네가 계획한대로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행복하게 귀국할 것을 믿는다. 특히 너는 일찍이 아빠기 미국에 유학 온 지 얼마 안 되어 들어간 미국 초등학교 담임교사로부터‘Bright Spot'라는 가정통신문을 받았듯이 무섭게 적응하는 능력을 믿고 있단다.

너를 유학 보내면서 아빠의 유학시절이 아스라이 떠오르는구나. 미국의 카나리나 태풍의 영향으로 많은 슬픔을 가지고 있는 뉴올리안즈의 빈민 흑인들의 생활이 스치기도 하는구나. 아빠가 낮에 공부하고 밤에 그런 동네에서 슈퍼마켓의 점원을 하면서 학문과 삶을 온몸으로 느꼈던 기억들이 아슬아슬한 도전적 기쁨으로 다가오는구나. 어려울 때 더욱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을 생각하면서 에너지를 충전하길 바란다. 너의 유학이 인생전체의 커다란 변화계기가 되고 올바른 가치관이 정립되는 기회가 되어 보다 소중하고 보다 큰 것을 실천하는 혜안을 갖기를 바랄 뿐이다.
늘 그러하듯이 아빠와 그리고 우리 가족이 너를 항상 사랑하고 있음을 잊지 말아라.
그리고 아빠가 늘 얘기하듯이‘신체가 건강해야 따뜻하게 가슴이 열리고 머리가 맑아진다’것을 잊지 말아라.
이렇게 가슴이 뭉클하면서 편지를 쓸 수 있어서 기쁘구나.
윤여진 파이팅!

2005년 9월 10일 여진이 미국유학 이틀 전에
여진이가 아빠 딸임을 최고의 기쁨으로 여기는 아빠가 쓴다.

*윤여진은 아빠 윤운성과 엄마 가경신의 맏딸로서 연세대 경영학과 2학년을 마치고 교환학생으로서 미국 Univ. of Washington으로 유학가는 학생입니다.

우리가족은 딸의 출국전날 9월12일 가족예배를 보았습니다.
성경 요한복음 15:1-9(내가 포도나무요 내 아버지는 그 농부라... 잠언2:1-7(네 귀를 지혜에 기울이며, 네마음을 명철에 두며...)
아빠는 가지가 포도나무에 붙어 많은 열매을 맺고 상급을 받을 수 있는 포도나무 가지의 사명을 감당하길 바라면서, 지혜와 명철로 목적달성하길 기원하는 설교를 했습니다.
조직을 ‘최강팀 만들기’위한 주체는 곧 ‘나’ (윤운성) 글쓴이 : KEEC   2012-08-27 10:47

최강팀 만들기:팀워크 에니어그램

사람들은 각기 다른 생각과 느낌, 그리고 행동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인간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학문들이 존재하고
또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이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도구를 찾기는 쉽지 않다. 그럼에도 원인 없는 행동이 없다는 프로이드의 말은
인간의 행동에는 근원적 뿌리가 존재하고 있다는 신념을 갖게 한다.

인간 행동 중 많은 부분은 타고난 습관적 에너지에 의해 설명된다. 인간의 타고난 습관적 에너지는 새로운 환경에 자신의 생존을 위해 반사
적으로 적응하게 하고, 타인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해 노력하게 하고, 또한 끊임없이 안전을 확인하게 한다. 이러한 습관적인 에너지
는 우리의 삶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부정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개인의 에너지의 방향을 알고 이를 어떻게 긍정
적으로 활용할 것인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이는 인간이 출생의 순간부터 어떤 형태로든 조직의 일부분에 편입되어 살아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가정에서
부터, 학교, 지역사회, 직장, 국가라는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상호의존성과 협력을 통해 개인이 성장한다는 것이다. 특히 현대인은 조직을
통해 집단의 성장은 물론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 개인의 심리적 건강성은 곧 조직의 힘을 의미하고, 조직의 힘은 곧 개
인의 건강성을 의미한다.

한 명의 리더가 부하를 끌고 가는 종래의 특성론적 리더십은 변화하는 경영환경에서 조직의 힘을 이끌어내기 어렵다. 오히려 각각의 구성
원이 자기분야에서 자기리더십(self-leadership)을 발휘하고, 팀웍을 통한 조직의 목표에 다가갈 때 에너지는 극대화 되는 것이다. 각기 다
양한 사람들의 타고난 능력을 팀웍으로 작동하게 한다면 분명 그 조직은 ‘최강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조직을 ‘최강팀 만들기’위한
주체는 곧 ‘나’인 셈이다.

조직을 ‘최강팀으로 만들기’ 위한 변화의 첫 걸음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발견하는 것이다. 즉 자신이 가진 장단점을 이해하여 의사소통을 효
과적으로 하고, 타인들에게 좀 더 적극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갈등을 해결하고, 생산적이며 높은 팀워크을 통해 고차원의 리더십을
발휘한다면 개인은 물론 조직은 성장한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가 어떻게 습관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고, 삶의 현장에서 얼마나 생산적으로 행동하며, 스스로를 어떻게 변화 시키는
지에 대한 유용한 틀을 제공하는 에니어그램은 현대인들이 행복과 성공을 위한 필수 도구가 될 수 있다. 성공은 쫓아가는 것이 아니라 성공
의 자산은 내 안에 이미 존재하고 있다. 에니어그램은 성공과 실패의 무의식적 패턴을 인식하도록 해 준다. 즉 성공의 길을 안내하는 이정
표를 담고 있다.

2005년8월
한국에니어그램학회장 &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장
윤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