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급받은 인증코드를 입력해주세요.
개인이 검사를 구입해 진행하시려면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온라인 검사 구입 및 검사영화와 에니어그램 : 오페라의유령(3) 글쓴이 : KEEC 2018-10-25 15:31 |
오페라의 유령, The Phantom of the Opera(2004) - The Music of the Night , the prison of my mind, You are not alone. - Main Themes: Mask, Loneliness, Angel of Music, Guide and guardian 1:1, darkness, shelter, freedom, Point of No Return the dungeon of my black despair, the prison of my mind 오페라의 유령은 사랑을 갈구하는 이들의 슬픈 노래이다. 유령, 에릭은 기형적인 얼굴로 인해 어릴 때부터 세상으로부터 버림받았다. 그의 세상에 대한 좌절은 그에게 최초의 옷인 가면을 쓰게 한다. 가면은 상징적인 의미에서 보호, 은폐, 변신, 비존재를 뜻하며 다른 것과의 합일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자기 동일을 나타내기도 한다. ‘가면을 쓴 군중’ 속에 매몰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역으로 특정한 가면을 씀으로써 자기 동일성을 확립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聖劇에서 사용되는 가면은 여러 얼굴로 나타나는 신의 초자연적인 힘을 상징한다. 일반적인 연극에서 사용되는 가면은 평상시에 외면적 인격으로 가려지는 내면적 성격을 상징한다. 동물이나 새의 가면은 인간의 마음이 동물이나 새와 통합되는 것, 낙원상태의 회복을 나타낸다. 또한 이런 종류의 가면은 인간이 배울 수 있는 동물의 본능적 지혜,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자신 속의 동물성을 나타낸다. 유령의 가면(Mask)은 그의 약한 자아를 상징한다. 세상에서 버린 받은 유령은 자신의 얼굴과 내면을 가면 속에 숨기며, 살아간다. 그가 쓰고 있는 가면은 상처받은 영혼의 상징이자, 자신과 다른 것을 인정하지 못하는 인간의 사악함을 상징한다. 가면은 그의 얼굴의 기형을 가리는 옷으로 그가 다른 사람과 접할 수 있는 하나의 접점이 되지만 다른 이와 다른 그의 얼굴에서 또한 고독 속에 머물게 된다. 유령은 자신의 모습을 어둠과 가면 속에 감추고, 음악이란 가면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타인에게 나타내게 된다. CHRISTINE: Those who have seen your face draw back in fear ... I am the mask you wear ... 당신을 본 사람은 누구나 두려워하지... 난 당신의 가면... PHANTOM: It's me they hear ... 그들이 들은 것은 나... BOTH: Your/my spirit and your/my voice in one combined: the Phantom of the Opera is there - inside your/my mind ... 나의/당신의 영혼과 너의/나의 목소리가 하나로 결합하게 되니: 오페라의 유령은 너의/나의 마음속에 있어... CHRISTINE: 그림자 속의 저 사람은 누굴까? 가면 속의 얼굴은 누구일까? Who was that shape in the shadows? Whose is the face in the mask? 크리스틴은 유령의 가면을 벗겨 내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자신의 내면을 보일 준비가 되지 않은 유령은 그녀를 무섭게 꾸짖는다. 유령은 사랑을 갈구하지만 그는 사랑을 받아보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녀를 소유하려만 한다. |
영화와 에니어그램 : 오페라의유령 (2) 글쓴이 : KEEC 2018-08-25 14:04 |
영화와 에니어그램 : 오페라의유령(2)
|
오페라의 유령 1 글쓴이 : KEEC 2018-07-25 09:45 |
오페라의 유령, The Phantom of the Opera(2004) - The Music of the Night , the prison of my mind, You are not alone. - Main Themes: Mask, Loneliness, Angel of Music, Guide and guardian 1:1, darkness, shelter, freedom, Point of No Return the dungeon of my black despair, the prison of my mind 오페라의 유령 시놉시스 오페라의 유령의 이야기는 1861년 파리에서 시작된다. 무대는 화려한 음악과 춤의 전당 오페라 극장, 오페라 극장은 정식으로는 '국립음악 무용아카데미'라 하는데 세계에서 가장 큰 가극장이며, 그 외관은 웅장하고 화려한 그리스식 건물이다. 무대는 한꺼번에 450명이나 등장살 수 있는 넓이이고 천장에는 샤갈의 '꿈의 꽃다발'이 그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많은 그림과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는 넓은 홀이나 대계단에는 저마다 멋진 의상으로 치장한 선남선녀가 오가고 있어 화려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오페라의 유령'의 주인공은 바로 언제나 오페라극장의 5번 박스석을 차지하는 괴신사다. 그는 가스통 르루의 원작에 따르면 프랑스 혁명에서 모진 고문을 당한 희생자로 흉칙하게 일그러진 한쪽 얼굴을 감추기 위해 마스크를 쓴다는 것이다. 리허설중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사고 때문에 주역 여가수가 출연을 거부하고, 합창단원들의 추천으로 무명 크리스틴은 대역으로 나선다. 크리스틴은 '나를 생각해줘요'를 완벽하게 불러내고, 공연은 대성공을 거둔다. '오페라의 유령'은 그랜드 오페라 '한니발'의 드레스 리허설을 끝내고 분장실로 돌아온 아름답고 젊은 프리마돈나 크리스틴 다에를 납치하여 분장실의 거울을 통해 자신의 지하마궁으로 사라진다. '미녀와 야수'의 야수처럼 유령은 크리스틴에게 헌신적인 사랑을 바치면서 자기가 작곡한 오페라 '의기양양한 돈환 Don Juan Triumphant'에서 돈환의 연인 아민타역을 노래해 줄 것을 크리스틴에게 간청한다. '꿈 속에서 네 이름을 부르던 목소리, 그가 내 앞에 나타났네. 이건과연 현실일까, 오페라의 유령은 내 마음속에 있었어….' 크리스틴와 유령이 '오페라의 유령'을 부르고 수십 개의 촛불이 일렁이는 마궁에서 괴신사는 신비로운 음성으로 '밤의 노래'를 부른다. 흉측하게 일그러진 괴신사의 얼굴을 본 크리스틴은 경악하고, 극장에서는 예기치 못한 사고가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두려움에 사로잡힌 크리스틴에게 연인 라울은 자신을 믿으라며 '그대에게 바라는 바'를 불러주며 사랑을 고백한다. 6개월 후의 공연날 유령은 등장인물로 변신해 크리스틴을 납치하고 미궁에 뒤따라온 라울이 함정에 빠져 죽을 위험에 빠지자 크리스틴은 그를 구하기 위해 유령에게 키스한다. 충격받은 유령은 그들을 놓아준다. 사람들이 미궁을 덮쳤을 때 남아 있는 것은 유령의 흰 가면뿐이다. 성경의 창세기에 보면 이러한 이야기가 있다. 인간은 신의 형상대로 빗어진 존재로서 신성한 빛을 가지고 태어난 존재이지만 인간이 자신의 본질에서 멀어졌을 때 신성한 빛의 옷을 잃어버리고, 자신의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옷을 입게 된다. 인간의 최초의 옷을 무엇이었을까? 무화과 잎, 아니면 양의 털..., 인간의 최초의 옷은 자신의 신성을 보지 못하고 벗을 몸을 나라고 여기는 거짓된 이미지, 즉, 거짓된 성격일 것이다. 즉, 진정한 내가 아닌 나의 것을 나라고 생각하는 착각이다. 나의 영혼은 내가 만든 나의 것에 묻히게 되는 것이다. 우리의 영혼이 무의식 속에 갇혀 자유롭지 못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우리의 본질적인 영혼의 힘은 타오르지 못하고 꺼져가는 불씨처럼 존재한다. 이러한 상태는 우리의 일상의 경험과 인간관계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고통과 좌절 속에서 우리를 머물게 한다. “유리처럼 약해서 깨지기 쉬운 가면, 사람은 본디의 얼굴을 숨기고 그것을 쓴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유리가면”이라는 만화의 한 대사처럼 인간은 자신의 본질과 만남을 두려워한다. 본질에서 멀어진 인간은 삶 속에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가면을 쓰게 된다. 하지만 그 가면은 세파 속에 내놓여진 약한 유리로서 인간은 언제 그것이 깨질지, 자신의 상처받고 갇혀있는 내면의 모습이 노출될지 두려워하며, 조심하며, 자신만의 세상 속에 포로의 모습으로서 살아가게 된다. 자신의 가면 속에 묻힌 본질적인 모습에 대해 대면하기를 두려워하며, 약한 영혼의 불꽃을 재 속에 덮어두게 된다. - 다음에 계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