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급받은 인증코드를 입력해주세요.
개인이 검사를 구입해 진행하시려면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온라인 검사 구입 및 검사블랙스완 - 글 / 전임교수 소희정 글쓴이 : KEEC 2015-08-13 15:17 |
블랙스완 - 글 / 전임교수 소희정 “Perfection is not just about control. It’s also about letting go.” 완벽함이란 통제하는 것만이 아니야, 흘러가게 두는 것이기도 해. “The only person standing in your way is you. It’s time to let it go, Lose yourself!” 네 앞길을 가로막고 있는 유일한 사람은 너야. 이제 보내야 할때야. 너를 편안하게 해줘 완벽함을 꿈꾸는 발레리나의 이야기를 다룬 ‘블랙스완’ 뉴욕 발레단의 발레리나 니나 세이어스는 어머니 에리카와 둘이서 살고 있다. 발레단의 단장인 토마스 르로이는 ‘백 조의호수’를 새롭게 재해석하려한다. 이때 니나에게 ‘백조만 뽑을거면 너를 뽑을 것’이라고 니나에게 말하며 그녀의 흑조 연기를 탐탁해 하지 않는다. 니나를 낳으면서 발레를 포기한 어머니의 대리욕망인 니나는 흑조의 역할이 쉽지 가 않다. 백조의 여왕으로 새롭게 프리마돈나가 된 니나는 자신의 단점인 흑조 연기가 잘 되지 않아 고통스러워한다. 공연을 앞두고 밀려오는 긴장감과 강박은 점점 중압감으로 엄습해오고 급기야 환각 경험까지 하는 발레리나(니나)의 내면과 심리를 시각적으로 잘 표현한 영화이다. 애드거 앨런 포의 소설 ‘검은 고양이’, 한국의 공포 영화 ‘검은 집’, 스티븐 킹의 소설 ‘검은 옷을 입은 남자’, ‘다크 타워’ 등에 나오는 블랙, 이 블랙을 프로이트는 ‘무의식’, 라캉은 ‘미분화된 그림자 자아’로 표현을 하기도 한다. 분석 심리학의 거장인 칼 융은 인간의 내면은 자아의 전쟁터라 하면서 프로이트와 달리 사람은 태어나 외부와 의 관계 속에서 무수한 자아를 만들어낸다고 하였다. 특히 그중에서도 “마음의 상처와 억압, 선택받지 못한 경 험, 접었던 꿈과 재능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억눌려 왔던 것들의 집합체, 질투 선망 열등감 분노 같은 부정적 정서와 연관된 기억들은 내면의 저 깊은 곳, 무의식 속에 웅크리고 있다”라고 하면서 이를 ‘그림자 자아‘ 라고 하였다. 사람들이 이 그림자와 잘 사귀지 못할 때 억압된 자아가 파괴적이거나 충동적 일탈로 나타나게 되는데 분석심리학적 관점으로 본다면 니나의 자아 역시 건강하고 순결한 의식적 자아의 영역인 백조와 흑조가 서로 조화되지 못하고 분열되어 버린 것이다. 흑조는 위축된 “힘에의 의지”가 숨겨진 과도하게 억압된 공격성과 성 욕동 그리고 유아적 불안과 상처들이 현실 안에서 건강하게 분출되지 못하고 주관적인 환상 속에서 방어적으로 분리해낸 존재였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어머니의 욕망을 자신의 욕망으로 받아들이면서 진정한 자기를 잃어버리게 되고 은폐적 가면을 만들어 낸 것은 아닐까? 시선돌리기 : 영화에서 나의 삶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자신의 일부라고 간주하는 특성들이 있다. 그것을 자기개념이라고 하는데 자기 개념 조차도 타인의 수용이나 인정을 위해 내사화된 조절을 통해 자신이 아닌 것을 자신으로 여기고 살고 있다. 자신 스스 로 조차 있는 그대로를 사랑하고 수용하는 법을 잘 모른 채 현실을 왜곡하고 부정하며 불안과 고통을 묵묵히 견 뎌내고 있지 않은가? 우리가 타자를 대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그 사람의 자율성을 보장해주지 않은 채 자신의 영향력 안에 두 려하고 자신의 스타일대로 지배하려한다. 아래의 질문은 자신에게 던져보자. • 나는 꽤 수용적인 사람이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가? • 나는 자신에게,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마주치는 모든 타인들을 “존재자체로,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고 바라볼 수 있는 참을성“이 있는가? |
프리덤 라이터스 글쓴이 : KEEC 2015-05-20 13:49 |
프리덤 라이터스 - 전임교수 소희정 - 1994년 캘리포니아주 롱 비치에 위치한 윌슨 고등학교에서 처음 교편을 잡은 에린 그루웰(Erin Gruwell)은 학생들 에게 글쓰기를 통해 다가가고, 1999년 교사로서 자신의 경험을 담은 책인 “The Freedom Writers Diary” 를 집필한 다. 이 실화를 그려낸 영화가 “프리덤 라이터스”이다. 원래는 명문학교였으나 통합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부근의 문제아들이 배치되어 기존의 학생들이 빠져나가고 보호 관찰 대상이거나 마약 중독 치료중인 아이, 전학 조치를 당한 아이들이 대부분이다. 학교에서는 인종차별과 패싸움이 끊이지 않고, 마약과 갱들의 총격전으로 거리는 전쟁터나 마찬가지. 그런 아이들에게 학교와 수업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초임 엘리트교사인 그루웰은 ‘가르친다.’는 부푼 꿈을 안고 그 아이들의 교실로 들어간다. 현실은 수업첫날부터 교실에서는 싸움이 일어나고 속수무책 통제가 안 되는 아이들과 소용이 없는 징계, 힘없는 담임교사일 뿐이었다. 이것이 노력하지 않는 아이들만의 문제인가? 차별과 절망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생존을 위해 아이들 자신의 방식으로 살아내고 있었다. 아이들은 변화의 의지도 없는 범죄자 취급을 받고 인간적 대우를 받지 못하는 아이들은 반항을 하는 방식으로 악순환 되고 있었다. 그녀는 차별과 절망, 패배를 숙명처럼 받아들이는 아이들에게 교과서를 접고 관용을 가르치기로한다. 수업의 주제는 문학과 글쓰기였다. 마음속의 공포, 차별, 분노, 인정받지 못한 마음을 보다 긍정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하면서 아이들은 조금씩 변화한다. 단순한 읽기와 쓰기를 넘어 자신의 상처를 극복하고 미래를 변화시키는 치유의 수단이 된 것이다. 그루웰은 변화를 느끼고 자신의 욕구와 열망을 눈치 챈 아이들에게 안네의 일기를 읽도록 한다. 아이들은 안네의 고통에 이입되고, 스스로 관련 서적과 정보를 찾아보며 토론하고 자신이 처한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아이들은 안네를 숨겨주었던 ‘밉 기스’ 초청강연을 위해 스스로 움직이기까지 한다. 이러한 아주 소소한 변화는 아이들에게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었고, 작은 성취감들을 경험하면서 자긍심을 가지고 무엇인가 새롭게 시작할 수 있다는 희망을 품게 된다. 즉, 자신의 삶에서 스스로 영웅이 되는 가치를 알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모두 그루웰처럼 할 수는 없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사비를 투자하고, 다른 교사의 가치와 제도에 반기를 들지 않는 교사는 진정한 교사가 아닌 것으로 오해될 수 있다. 하지만 그루웰은 그러한 현상들만 청소년들에게 제공한 것이 아니다. 기존의 가치에 스스로를 판단해버리고 포기하고 좌절하는 아이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고 자신의 삶을 꿈꾸게 할 수 있도록 마음속에 별을 품게 해주었다. 어쩌면 누군가를 이해한다는 것은 자신의 기준과 판단을 세워놓고 바라보기보다는 타인에게 한 발 다가서서 그 자리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일 지도 모른다. 질문해보기 - 영화에서 학생들은 일기를 통해 자신을 바라보고 자신만의 이야기를 하기 시작합니다. 당신은 일기를 쓰고 있나요? - 문학작품이나 영화에서 자신의 이야기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인물이 있나요? - 당신의 학창시절 기억나는 선생님은 누구이고 어떤 모습인가요? - 당신의 가슴속의 별, 또는 길을 인도하는 등대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 글쓴이 : KEEC 2015-05-20 13:41 |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 Vis ta vie 네 인생을 살아! - 전임교수 소희정 - 2살 무렵 부모를 여읜 폴은 말을 잃은 채 두 이모와 함께 산다. 이모들은 폴을 세계적인 피아니스트로 만들려고 했지만 번 번이 콩쿨대회에 입상하지 못한다. 33세인 폴은 피아노 실력이외 대부분의 것들에는 미숙한 어린아이의 상태에 멈춰있 고, 그의 생활반경은 집과 두 이모들이 운영하는 댄스교습소, 정원 산책 정도가 전부이다. 그는 분명히 살아 움직이지만두 이모의 자동인형 같은 느낌이다. 눈빛 역시 한없이 깊고 슬프고 아름답지만 감정이 없는 듯 전혀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폴에게 단 하나 좋은 것은 따뜻하고 아름다웠던 엄마에 대한 그의 기억이다. 어릴 적 희미한 기억으로부터 비롯된 아빠에 대한 공포심으로 인해 사진 속 아빠를 재단해 분리해버리는 행위로 자신의 기억 속에 있는 아빠에 대한 복수를 한다. 그러던 어느 날 폴이 살던 아파트의 엘리베이터가 망가지면서 그의 인생에 큰 변화가 생긴다. 우연히 이웃 마담 프루스트의 집을 방문한 폴은 그녀가 키우는 작물을 먹고 과거의 상처와 추억을 떠올리게 되면서 매주 목요일마다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여행을 한다. 정신분석의 거장인 ‘멜라니 클라인’은 아이들은 엄마와 주변의 사람들을 ‘환상(phantasy)’을 통해 구성하고, 그 무의식적 환상을 통해 전체 세계와 관계한다고 하였다. 아이는 어떤 것도 있는 그대로 단순하게 보이지 않고, 지각을 구조화하고, 윤색하고, 중요성을 더하며 무의식적 환상을 모든 지각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세계를 인식한다고 하였는데, 영화의 섬세한 장치들과 색채는 헐리우드 영화와는 비교할 수 없는 독특함이 있다. 특히 폴의 기억 속 장면은 과장된 동화 속 한 장면 같기도 한데 이 장면들은 성인이 된 시점으로는 기억해내기 힘든 폴의 무의식적 환상(Phatnasy)을 보여주는 듯하다. 감독 실뱅 쇼메은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많은 부분들을 영화에 담아낸다. 아마 프루스트의 열렬한 팬이 아니었을까? 영화에서 폴은 마담 프루스트가 준 이상한 차와 마들렌을 먹으면서 무의식속 봉인된 기억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모들로부터 왜곡된 아버지에 대한 기억, 자신이 억압해온 고통스러운 진실들을 마주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으로 성장하게 된다. 프로이트는 ‘이드가 있는 곳에 에고가 있게 하라‘ 라는 말로 정신분석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를 말하고 있다. 폴은 자신의 과거를 기억해 내었고, 바라보았으며, 화해하고 인정하는 작업을 통해 비로소 성숙한 어른의 자아로 다시 태 어날 수 있었다. 기억을 찾고 사진속의 아버지를 엄마와 자신의 옆으로 다시 복귀시키는 상징적인 작업을 통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받아들인다. 기억은 주인 스스로 왜곡시킨다. 도저히 간직할 수 없는 기억들은 억압해버린다. 하지만 왜곡하고 억압해버린다고 지워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마치 시지프스의 형벌처럼 바위를 산꼭대기로 굴려 올리지만 그 무게로 인해 다시 아래로 굴러 떨어지는 반복재생을 하기 때문이다. 그것을 용기있게 인식하고 받아들일 때 우리는 구원될 수 있을 것이다. 영화는 폴이 두 살 때 미처 말하지 못했던 “pa pa”라는 말을 자신에 아이에게 되뇌이는 것으로 끝났지만 이제 공허한 눈빛에 감정을 담고 매순간 행복을 느끼며 살게 되지 않을까? 생각해보기 - 당신을 과거로 돌려보낼 만한 오래된 소품들이 있습니까? - 당신이 기억하고 싶은 혹은 기억하고 싶지 않은 과거는 무엇인가요? - 영화에서는 2살 때 폴의 시점이 종종 등장합니다. 만약 당신이 감독이라면 2살짜리가 보는 세상은 어떻게 그려내고 싶은가요? - 당신 인생의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언제였습니까? |